차기 법무장관 '학자출신' 선호
여론조사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40% 중반으로 올라갔다. 지난 2주간 하락세를 거듭하다 올라선 결과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14∼16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03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은 지난주 주간집계보다 4.1%포인트 오른 45.5%(매우 잘함 28.8%, 잘하는 편 16.7%)로 나타났다.
국정수행 부정평가는 4.5%포인트 내린 51.6%(매우 잘못함 42.5%, 잘못하는 편 9.1%)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0.4%포인트 오른 2.9%였다.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상승에 대해 “그동안 국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거취가 사퇴로 결정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고 리얼미터는 분석했다.
중도층과 진보층, 30대와 50대, 40대, 호남과 충청권, 대구·경북(TK), 경기·인천, 서울 등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국정수행 지지율이 상승했다. 부산·울산·경남(PK)과 20대에서는 소폭 하락했다.
이념성향 별로 보면 진보층(긍정 77.2%·부정 21.4%)에서는 긍정평가가 70%대 후반이었고, 보수층(긍정 17.5%·부정 81.7%)에서는 부정평가가 3주째 80%대를 기록했다. 중도층(긍정 39.2%·부정 58.4%)의 경우 긍정적 평가가 오르고 부정적 평가가 내려간 것은 지난 3주간 이탈세가 멈춘 것이 원인이 됐다.
리얼미터는 “진보층이 재결집한 가운데 문 대통령의 국정에 대한 인식이 양 진영 간에 여전히 극단적으로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16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법무부 장관에 가장 적합한 출신 이력을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한 결과, 학자와 검사, 판사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법무부 장관으로 '학자 출신'이 가장 적합하다는 응답은 21.3%, '검사 출신'은 17.8%, '판사 출신'은 17.7%로 조사됐다. '현역 의원' 응답은 9.9%였다. 모름·무응답은 15.9%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