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왼쪽)와 자유한국당 이진복 의원이 24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사이에서 때아닌 '문건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문건은 한국당이 민주당 발(發)이라고 공개한 '비례위성정당 관련 검토 자료'. 한국당은 "이를 근거로 민주당이 비례한국당 구상에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고 민주당은 "터무니없는 이야기"라며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다.
25일 한국당 김재원 의원이 공개한 '비례위성정당 관련 검토자료'에 따르면 연동률 50%를 적용하는 의석수(cap·캡)를 30석으로 한정하는 조건 등을 토대로 한 각 정당 시뮬레이션 결과가 포함돼 있다.
민주당과 한국당, 정의당의 가상 지역구 당선의석은 120석, 105석, 0∼2석으로, 정당득표율은 40%, 35%, 10%로 지정했다. 이에 따르면 민주당은 120석, 한국당은 105석을 각각 획득한다. 비례한국당은 30석(한국당 정당득표율 적용), 우리공화당은 7석, 새보수당은 10석, 정의당은 8∼11석을 각각 얻는다. 비례대표 의석수만 보면 민주당과 한국당에는 한 석도 배정이 안 된다.
하지만 비례한국당은 30석, 우리공화당은 7석, 새보수당은 5석, 정의당은 8∼9석을 각각 얻는다. 결국 한국당을 포함한 범보수진영이 총 152석의 과반을 얻는다는 것. 한국당은 이 문건의 표지에 '제176차 의원총회, 2019.12.18 15:00, 제2회의장 예결위회의장'이라고 적혀있다는 점을 근거로 민주당이 의원총회에서 자료가 배포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석패율제의 문제점', '인사청문 관련 자료'도 함께 첨부돼 있었다고 알려졌다.
김 의원은 전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민주당도 비례정당을 만들어 임해야 하고 한국당도 비례정당을 만들어 임해야 한다"며 "그러다 보면 비례대표 제도가 오히려 정말 이상한 제도로 전락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그런 자료를 배포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한 매체에 "그런 자료는 본 적 없다"며 "여당 자료라는 근거가 어디에 있나"라고 반문했다. 다른 관계자도 이 매체에 "제가 보지 못한 자료다. 의총 때 깔린 자료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는 한국당의 비례한국당 계획에 대한 걱정은 존재한다. 실제 전날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가 외부 전문가로부터 '비례민주당을 만들지 않으면 한국당이 거의 의석 과반을 쓸어간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받아 확인하는 모습이 한 언론 카메라에 포착됐다. 당 지도부는 '동요는 없다'고 못박았다. 당 핵심 관계자는 "김재원 의원이 왜 문건을 공개했는지 모르겠다"며 "민주당은 이 문제로 동요 안한다"며 태연한 모습을 보였다.
민주당 내의 위기의식을 높이려는 한국당의 전략일 가능성에 대해 "그렇다고 본회의에 상정된 선거법을 어떻게 부결시키겠나"라며 "당 기조대로 계속 갈 것이다"고 했다.
민주당과 한국당의 진실공방에 대해 민주당과 공조한 4+1(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소속 군소야당들은 날을 세우고 있는 분위기다. 민주당 역시 비례위성정당 설립의 명분을 찾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심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