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라인 제공. |
[세계투데이= (도쿄) 후나하시 키요미 기자] 일본내 한 매체의 보도로 시작된 일본 ‘라인(LINE)’의 개인정보 노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 정부까지 나서 국가 기밀정보 등이 중국쪽으로 유출됐는지 파악에 나섰다.
19일 아사히신문 등 일본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이날 오전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참의원 예산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일본 정부내 라인 서비스에 대한 이용 상황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현장에서 자민당 야마다 히로시(山田宏) 의원은 "정부 내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라인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정부가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만큼 당분간 라인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17일 아사히신문은 보도를 통해 “라인 측이 서비스 시스템 개발을 위탁한 중국 업체에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라인의 개인정보 중국 유출 가능성 논란은 알파만파 확산중이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라인이 시스템 개발을 중국 상하이(上海)에 본사를 둔 IT(정보통신) 회사에 위탁했고, 이 업체의 중국인 기술자 4명이 일본 서버에 보관된 이용자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진다.
라인 측 입장은 분명하다. 작업을 위한 권한이 부여됐던건 사실이지만 이를 통한 유출 문제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라인 측 관계자는 “해당 업체는 게임 플랫폼 개발 등을 실시하는 곳으로 업무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엑세스 할 권한을 주고 관리하고 있으나 잘못된 사용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올해 2월 중순 이후 해당 권한도 상실한 상태라는 게 라인측 설명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라인이 ‘국민 메신저’로 불릴 만큼 일본을 대표하는 소통 창구란 점에 있다. 실제로 라인은 일본 국민 10명중 7명이 사용한다. 올초 회사측 추산 기준 일본내 약 8600만명의 회원이 가입중이다.
일본 정부는 유출 가능성이 제기된 개인정보와 함께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주요 정보 등이 중국쪽으로 넘어 가진 않았을까 노심초사 하는 모양세다. 일본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측은 라인에 개인정보보호법이 지켜지고 있었는지 확인하는 한편 위탁업체의 안전성 등도 조사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후나하시 키요미 기자 hoony@asianews.news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