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지역구 출마 힘들어지나…與, 선거법 난항에 늦춰지는 총선

홍정원 선임기자 홍정원 선임기자 / 기사승인 : 2019-12-20 16:37:31
  • -
  • +
  • 인쇄
▲ 이낙연 국무총리. 연합뉴스 제공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비롯한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가 미뤄지면서 더불어민주당의 총선 시계도 미뤄지고 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20일 최고위원회의 후 브리핑에서 "상황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영입 인사는 선거법을 마무리한 뒤 발표하기로 최고위에서 논의했다"고 밝혔다. 홍 수석대변인은 "최종적으로 영입 인사 결정이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 인재영입위원회에서 당 대표가 직접 계속 작업하고 있다"며 "선거법 비례대표와 지역구 문제가 마무리된 후 발표하는 게 좋겠다는 원칙적 판단을 한 것이다"고 말했다.

 

선거법이 확정돼야 비례대표 배분 방식과 규모 등의 윤곽이 나오는 만큼 지금 상황에서 영입 인사를 확정해 발표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 여론의 관심이 온통 패스트트랙 법안 협상에 쏠려있는 현재 영입 인사를 발표한다고 해도 임팩트가 떨어질 것이라는 계산도 있다. 민주당은 영입 인사 발표뿐 아니라 선대위 출범, 공약 공개 등 총선 일정을 미루고 있는 상황.

 

이해찬 대표는 지난 11월 "12월 10일부터 선대위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준비하겠다. 인재 영입도 같은 시기에 공식적으로 할 수 있게 하겠다"며 선대위 체제 조기 전환을 공언했지만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민주당 관계자는 한 매체와 전화통화에서 "지금 상황에서 어떻게 하겠나. 선대위도 선거법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된 후 띄울 것 같다"며 "내년 1월쯤 출범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모병제와 청년신도시 등 일부 대형 공약 준비 착수 상황을 이미 공개했지만 추가 공약 공개 움직임은 아직 안 보인다. 영입 인사 발표와 마찬가지로 지금 시점에서는 공약을 공개하더라도 이슈 주도권을 잡긴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 총선 준비를 총괄하는 총선기획단도 개점 휴업 상태다. 매주 회의는 열지만 선거법이 어떻게 될지 몰라 의사 결정이 어렵다. 총선기획단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회 상황이 이렇고 선거법이 정해지지 않아 비례대표 관련 내용 등을 구체화하기가 어렵다"며 "모이긴 하지만 개인 의견을 교환하거나 앞으로의 상황을 전망하는 정도의 논의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루한 패스트트랙 대치 속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도 정해지지 않아 총선 역할 기대를 받는 이낙연 총리의 당 복귀도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총리 임명동의안 표결을 위한 국회 본회의가 미뤄져 지역구 출마 후보자 공직 사퇴 시한인 1월 16일을 넘겨 총리 교체가 이뤄진다면 이 총리의 지역구 출마도 힘들어진다. 이 총리의 선택지는 비례대표 출마밖에 남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문회 및 임명동의 절차가 비교적 수월하게 진행돼 이 총리가 연초 복귀한다 해도 패스트트랙 법안이 마무리되지 않아 선대위 체제 전환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 총리의 역할은 당분간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정원 선임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사회

+

종교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