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법조출입기자단 '그들만의 리그'

권모세 발행인 권모세 발행인 / 기사승인 : 2019-10-19 17:34:56
  • -
  • +
  • 인쇄

▲ 윤석열 검찰총장이 17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법조출입기자단 신규 매체 가입은 기존 기자단에 속한 매체 기자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법조출입기자단에 밉보이면 절대 기자단의 일원이 될 수 없는 구조다. 정부 부처 출입기자단 가입 절차는 대개 비슷하지만 유독 법조출입기자단의 벽이 높다. 검찰발 정보를 캐는 게 법조출입기자의 '실력'으로 인정받는 상황에서 검찰과 관계에서 조금이라도 가까이 갈 출입기자단은 유혹이 클 수밖에 없다.

최근 법조출입기자단 가입 요건이 더욱 까다로워진 것으로 확인됐다. 조국 전 장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신상털기식 검증 그리고 피의사실공표 문제가 불거졌다. 검찰발 정보에 신중할 필요가 있고, 공개된 정보를 다루는 공판 취재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기자단 시스템을 손보는 것이 '검언유착'을 막는 방안으로도 거론되는데 오히려 기자단의 기득권 강화로 볼 수 있어 우려된다.

법조 기자실 출입 및 기자단 가입 규칙을 보면 '기자실에 출입하기 위한 조건'은 "6개월 동안 법원, 지검, 대검 담당 등 최소 3명의 인력으로 법조팀을 운영하면서 법조 관련 기사를 보도해야 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기자실에 들어오지 못하고 기자단을 통한 자료 제공은 일체 없다"고 돼 있다.

6개월 동안 법조 관련 기사를 썼다고 인정받으면 기자단에 가입 투표 회부를 요청할 수 있다. 기자단 규칙엔 "법원, 지검, 대검 기자단에서 각각 투표를 실시하고, 재적 3분의 2 출석과 과반수 찬성이 이뤄지면 기자실 출입을 허용한다. 이에 대법원 1진 기자실에서 한차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규칙상 3개의 기자실에서 시행하는 투표 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관행적으로 법조팀 검찰반장이 상주해있는 지검(고검) 기자단 투표를 통과하면 기자실 출입을 허락해왔다. 지검 기자단 소속 일원의 3분의 2 출석에 과반을 얻어 투표를 통과하고 대법원 기자단(1진)이 승인하는 식이었다. 2014년 이전 이런 방식을 통해 기자실을 출입하고 있는 매체는 이데일리와 이투데이 등이다. 그런데 2014년 이후엔 투표 통과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해 단 한 매체도 기자실 출입을 못하고 있다.

타 정부 부처 역시 기자단 투표를 실시하고 있지만 법조출입기자단과 같이 요건이 엄격하고 자의적으로 운영되는 곳은 많지 않다. 법조출입기자단이 일종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검찰발 정보를 독점하려하기 때문에 '검언유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으로 보면 정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17년 박근혜-최순실 농단 사건이 터지고 특검이 꾸려지자 15개 매체 40여명 기자들은 별도의 기자단을 만들었다. 이들은 법조출입기자단과 차별 없이 특검팀에서 나온 정보나 재판 정보를 받는 데 목적을 뒀다. 하지만 차별은 여실히 드러났다.

법원은 대법정에서 진행되는 국정농단 사건을 취재할 자리 40여개 모두를 법조출입기자단에 줬다. 기자단에 속하지 않은 매체는 재판을 볼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 '비출입 기자단'은 법원에 '읍소'해 겨우 한자리를 얻어 재판에 들어갔다. 소법정(참관 30명 제한)에서 진행되는 국정농단 사건 재판에선 법조출입기자단 몫으로만 3개 자리를 줬다. 법원은 재판정에서 금지돼 있는 노트북 사용을 허락했다. 기자단에 속하지 못한 매체 기자들은 법정에 서서 재판 과정을 수기로 기록해야 했다.

공판중심주의 취재는 재판을 기록하고 판결문을 분석하는 일이다. 그런데 법원은 판결문 공개에 제한적이다. 판결문 공개에 따른 명예훼손 소송 문제가 불거진 탓도 있지만 법조출입기자단이 기득권을 고수해서다. 법조출입기자단에 속한 매체의 경우 판결문이 나오면 법원에 신청해 즉시 전자문서나 출력된 종이 형태로 받아볼 수 있다. 하지만 기자단에 속하지 않으면 판결문 구하기가 쉽지 않다. 판결문을 신청하면 수일이 걸린다. C기자는 "판결문을 신청했더니 법원 공보관이 출입기자단에서 비출입사 기자에게 판결문을 주지 말라고 했다고 그러더라"라며 "피의사실공표 문제가 있는 검찰 중심 취재가 아니라 재판 과정을 따라가는 취재를 하려고 해도 이슈가 큰 사건의 경우 차별을 받는다. 기자단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으면 공판중심주의 취재라는 말도 헛구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권모세 발행인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사회

+

종교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