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축산 '예방 살처분'... '역학관계 없어도 죽인다'

최정호 기자 최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19-10-17 19:14:52
  • -
  • +
  • 인쇄
야생 멧돼지 우범지역 축산농가 살처분 희망 받아
"정부의 명백한 협박" 울며 겨자 먹기 '살처분 희망'

 

17일 국회 앞에서 열린 야생멧돼지 특단 조치 촉구 공동 기자회견

 

꼭 살처분 밖에 안되는 것인가? 정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살처분 대응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 국회 앞에서는 축산 관련 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ASF 살처분 대응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정부가 파주·김포에 이어 연천 지역 모든 돼지농가의 동의 없이 살처분이라는 극단적인 대책을 펼친다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연천 지역 내 축사에서 축사로 감염되는 수평적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런데 야생 멧돼지가 돌아다니면서 ASF 바이러스를 퍼트리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멧돼지 출몰 예상 지역의 축산 농가에 대해 살처분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상호간 충분한 합의 없이 살처분을 진행하는 것이라 축산 농가의 충격은 더욱 컸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수습본부) 관계자는 수매(정부가 살처분 대상 가축을 사드리는 것) 희망을 받아 살처분을 진행한 것이라 문제될 게 없다고 밝혔다. 즉 희망을 받고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합의는 당연히 이루어졌다 것이다.

 

그러나 축산농가의 입장은 달랐다. 사단법인 대한한돈협회 최성현 상무는 정부가 협의 없이 살처분 결정해 놓고 와서 수매 희망 받는다면서 “ASF로 두렵고 무서운데 안 따라갈 사람이 어디 있게냐고 반박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만일 예방 살처분을 하지 않아서 ASF 발병하게 되면 보상금이 60% 감액한다고 하면 축산농가는 어쩔 수 없이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의 명백한 협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예방적 살처분에 대해 대응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원 노출을 꺼린 행정 당국 한 관계자는 살처분으로 방역에 성공했다고 해서 또 살처분을 대응책으로 선택하는 것은 잘못이다면서 감염 경로가 야생 멧돼지라는 것은 희귀한 사례이기 때문에 충분한 연구를 통해 대응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습본부 관계자는 살처분 이전에 전문가와 해당 축산 농가 등과 함께 충분히 논의했고 검토해 내린 결론이다면서 일부 협의에 참여하지 않은 축산 농가 측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에 따른 살처분이 계속되는 가운데 6일 오후 서울 명동에서 동물해방물결 회원들이 살처분 당하는 돼지의 고통을 알리고 탈육식 동참을 호소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구제역부터 시작해서 이번 ASF까지 국내 축산 농가에 바이러스가 전파될 때마다 대응책은 살처분이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정부의 살처분 대책을 비판해 왔다. 학회 역시 살처분이 해결책인 것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이번 연천군의 예방적 살처분으로 인해 이 같은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정호 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사회

+

종교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