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 철도노조 파업대비 국민 불편 최소화
24시간 비상수송대책본부 운영 등 안전 수송에 총력
 |
▲전국철도노동조합이 11일 오전 9시부터 3일간 시한부 파업에 돌입한다. |
코레일이 철도노조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
한국철도(코레일)는 전국철도노동조합이 11일 오전 9시부터 14일 오전 9시까지 72시간 시한부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열차 안전 운행과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철도는 "부사장을 반장으로 하는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지난 7일부터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파업 종합수송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철도는 가용자원을 모두 동원해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이용객이 많고 국민 민감도가 높은 출퇴근시간 수도권전철과 KTX에 내부 직원과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우선적으로 투입해 열차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예정이다.
파업 예고 기간 중 열차 종류별 평시 대비 운행률은 ▲수도권전철 평시 대비 88.1% ▲KTX 72.4% ▲일반열차인 새마을호 61.8%, 무궁화호 66.7% 수준이다. 단, 수도권전철의 경우 11일과 14일 출근시간은 평시와 같이 정상 운행한다. 화물열차는 한국철도 내부 대체기관사를 투입해 평시 대비 32.1%로 수출입 및 산업 필수품 등 긴급 화물 위주로 수송한다.
한국철도에 따르면 파업 시 운용 인력은 필수유지인력 9616명, 대체인력 4638명 등 총 1만4254명으로, 평시 인력 2만3041명의 61.9% 수준이다.
한국철도는 대체인력에 대해선 "열차 운행 경험과 비상상황 대처능력을 갖춘 유자격자로서 철도안전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법정교육과 충분한 실무수습교육을 마친 인력이 투입된다"고 안내했다. 또 기관사 대체인력은 모두 기관사 면허 소유자이며, 특히 군 인력(전동열차 기관사, 차장)은 업무투입 전에 현장실무수습 등 충분한 교육을 거쳐 투입함으로써 안전 확보에 역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철도는 홈페이지, 스마트폰 앱 ‘코레일톡’ 등을 통해 파업 시 열차 이용에 관한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또 파업으로 운행하지 않는 열차의 승차권 발매를 제한하고, 미리 예매한 고객에게 문자메시지(SMS)를 발송해 안내하고 있다.
한국철도는 파업 예고 기간 승차권 환불(취소)이나 변경에 대한 수수료를 면제하고, 열차 운행이 중지된 경우 전액 환불한다. 예약 취소하지 않는 승차권도 1년 이내에 위약금 없이 전액 환불 조치한다.
한편 한국철도는 "파업 예고 기간의 취소되지 않은 승차권이 2만7천여 석(10일 오후 5시 현재)에 달한다"며 홈페이지로 운행 중지 예정 열차를 확인해 예약의 취소나 변경 또는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국철도는 또한 "마지막까지 노사 협의에 성실히 임할 것이며, 파업에 들어간다면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열차 안전 운행과 국민 불편 최소화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