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2016년 라우스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각국 장관들/ 사진= ASEAN Summit 제공. |
[아시아뉴스 = 김영상 기자]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이 회원국 외교부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군부 세력에 의해 쿠테타 정국을 겪고 있는 '미얀마 사태'에 대한 해법 찾기에 나섰지만 공동 성명 합의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3일 A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날 동남아시아 10개국으로 구성된 아세안 외교부 장관들이 화상 회의를 통해 미얀마 사태에 대해 논의했으나 의장국인 브루나이 측이 제안한 공동성명서 발표에는 합의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킨지 한 달 만에 가진 회의로 아세안 기구는 미얀마 군부 세력이 아웅산 수지 국가 고문과 주요 정치범 등을 감금하고 시민 시위대에 실탄을 발사하는 등 사태가 심각해 짐에 따라 긴급 장관회의를 소집했다.
회의에서 각국 외교장관은 주요 정치인에 대한 강제 구금과 민간인 사망 사건 등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는 한편 재발 방지 등을 위한 상호간의 의견을 교환했지만 브루나이와 일부 국가 등이 찬성한 공동성명에는 의견 차이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회의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은 냉랭하다. 개최 목적상 기대 이하의 결과란 평가도 나온다. 이번 회의가 당사국인 미얀마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주변국 등이 참여하는 만큼 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 마련에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높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공동성명서 불발에는 중국의 영향력 등으로 미묘한 정치적 역학 관계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쿠테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의 주요 인사들이 강행 전 중국을 찾아 공산당 주요 인사들과 면담을 가지는 등 정황이 드러난데 따른 관측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얀마 민간인 사망 사건에 대해 각국의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레트로 마르수디 인도네시아 외무장관은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고 다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걱정스럽다"며 "아직도 민간인 체포가 이루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쟁을 중지하고 협상에 나서라는 촉구도 이어졌다.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외교부 장관은 "수지 여사(국가 고문)를 포함한 주요 정치범을 석방하고 이들과의 협상을 진행하길 바란다"며 "이것이 미얀마가 민주화의 길로 되돌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의장국인 브루나이 측은 공동성명 불발후 가진 자체 성명에서 "미얀마 사태에 우려를 표한다"며 "당사자 모두 폭력 사태를 조장하는 것을 멈추고 최대한 융통성을 발휘하길 바라며,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평화적 해결책을 찾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동남아시아국가연합은 지난 1967년에 설립된 동남아시아의 정치, 경제, 문화 공동체로 인도네시아와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10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매년 11월에 정상회의를 개최한다.
김영상 기자 kysang@asianews.news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