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블랙리스트 기업 지정' 반발
 |
▲ 샤오미 레이쥔 대표이사 회장/ 사진= 샤오미 컨퍼런스 SNS 갈무리. |
[아시아뉴스 = (베이징) 장신신 기자] 중국의 대표적 전자제품 기업 샤오미가 미국 정부가 샤오미를 '블랙리스트 기업'에 지정한데 반발해 미국 법원에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30일 샤오미가 미국 워싱턴 지방법원에 미국 재무부와 국방부를 상대로 블랙리스트 지정 및 제재 결정을 취소해 달라는 내용을 골자로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지난 14일 중국 공산당과 연관 있다고 판단한 샤오미 등 중국 기업 9곳을 제재 대상 블랙리스트에 추가한 바 있다. 이 조치로 미국내 투자자들은 오는 11월까지 샤오미의 보유 지분을 처분해야 한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샤오미가 워싱턴 지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을 통해 "샤오미의 상당수 주주는 미국인이며, 자사의 보통주를 가장 많이 보유한 10곳중 3곳이 미국의 기관투자그룹"이라며 "이번 조치는 불법이자 위헌"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공산당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부인한 것으로 알려진다. 공동 창업자인 린빈과 레이쥔 등 2명이 샤오미 의결권의 75% 이상을 보유중이며, 공산당과 군 등과 관련된 어떠한 통제도 받고 있지 않다는 게 샤오미 측 설명이다.
이에 대해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복수 이상의 미국 매체는 "최근 조 바이든 행정부가 전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중국기업 관련 투자금지 행정명령의 시행을 연기한 것과 관련해 압박 수위 등을 조절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한편, 지난 29일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투자금지 블랙리스트에 오른 중국기업에 대한 투자금지 시행 시점을 오는 3월 27일까지 연기한다고 밝혔다. 당초 해당 행정명령의 시행 시점은 올해 1월 29일이었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